새소리음악중고등학교(교장 주미하)는 지난 11월 9일(일) 오후 6시, 본교 콘서트홀에서 제11회 정기연주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연주회는 학생들이 한 해 동안 성장한 음악적 결실을 나누고, 그 여정을 응원해 준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자리로 마련되었다.
공연은 새소리어린이합창단의 무대로 시작되었다. 새소리어린이합창단은 ‘달의 숨바꼭질’과 ‘Joy to the World’를 밝고 순수한 목소리로 노래하며 청중을 따뜻하게 맞이했다.
이어 무대에 오른 주미하 교장은 “우리 학교의 이름인 ‘새소리’는 ‘작은 새의 지저귐이 큰 숲을 울린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오늘 이 무대를 통해 학생들의 음악이 비록 어설프고 부족할지라도, 그 진심 어린 소리가 여러분의 마음을 울릴 것이라 믿습니다.”라고 전하며, 관객 모두에게 따뜻한 감사를 전했다.
이날 공연은 현악과 목관 앙상블, 그리고 솔로 연주로 이어지며 무대의 깊이를 더했다.

먼저, 현악 앙상블은 모차르트의 세레나데 제13번 G장조 K.525 “Eine kleine Nachtmusik”, 1악장 Allegro를 연주하며 고전적인 아름다움과 우아한 조화를 선보였다. 이어진 목관 앙상블은 베토벤의 목관 앙상블 내림마장조 작품 번호 71, 4악장 Rondo-Allegro를 통해 목관 악기 특유의 따뜻하고 경쾌한 음색을 전했다.

솔로 무대에서는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 중 <Caro Nome>, 호프마이스터의 비올라 협주곡 D장조 1악장 Allegro, 도니제티의 오페라 “돈 파스콸레” 중 <Quel guardo il cavaliere>, 모차르트의 호른 협주곡 내림마장조 제4번 K.495, 1악장 Allegro Moderato, 알베니즈의 “스페인 모음곡” 제1번 작품 번호 47, 3악장 세비야가 연주되었다. 다양한 작곡가들의 곡을 각기 다른 악기와 목소리로 풀어낸 이번 무대는 학생들의 섬세한 해석과 표현력을 잘 보여주는 시간이 되었다.
중간에는 연주를 준비한 한 학생과의 인터뷰가 진행되었다. 학생은 “한 해 동안 부족한 부분을 다듬고 더 나은 연주를 위해 밤늦도록 연습한 시간들이 오늘의 무대를 완성했다고 생각한다”며, “무엇보다 저희 음악을 통해 관객분들과 마음을 나누고, 받은 사랑을 음악으로 되돌려드리고 싶었다. 앞으로도 성장해 언젠가는 세계 무대에서도 그 마음을 전할 수 있는 음악가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그의 진솔한 고백은 연주만큼이나 관객의 마음에 깊은 울림을 남겼다.

연주의 마지막은 세르게이 스보이스키 교수의 지휘로 진행된 합창 무대가 장식했다. 스보이스키 교수는 전 상트페테르부르크 문화예술대학 지휘교수이자 수석지휘자로 활동했으며, 현재 새소리음악중고등학교의 상임 지휘자로 재직 중이다. 이날 합창단은 우크라이나 민요 ‘Ой, у вишневому саду (오, 벚나무 정원에서)’, 영국의 헨리 8세의 ‘Pastime with Good Company’, 몬테베르디의 ‘Anima Dolorosa’, 아르보 패르트의 ‘The Deer’s Cry’, 올라 예일로의 ‘Ubi Caritas’ 등을 연주했다. 우크라이나 민요부터 르네상스와 현대 합창곡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통해 사랑, 고뇌, 평화의 메시지를 노래하며, 관객에게 깊은 감동을 전했다.
연주회에 참석한 학부모 박혜영 씨는 “이번 정기연주회는 어느 때보다도 공연의 구성과 완성도가 뛰어나 정말 감동적이었습니다. 특히 클래식 기타 연주는 마치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에 앉아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만큼 인상 깊었고, 연주의 섬세함과 깊이가 마음을 울렸습니다. 합창 무대에서는 마치 추수 때 영글은 과일처럼 풍성한 울림이 느껴졌습니다.”라며 소감을 전했다.
이번 제11회 정기연주회는 단순한 음악 공연을 넘어, 학생들의 성장과 노력, 그리고 이를 지켜봐 준 모든 이들의 사랑과 응원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무대였다. 새소리음악중고등학교는 앞으로도 음악을 통해 감동을 전하고, 예술 교육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브릿지저널 관리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