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저널 윤나영 기자 | 부산시는 8일 '수영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이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심의과정을 거쳐 민간투자 대상사업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5월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제3자 제안공고(안) 검토를 완료하고, 제2회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에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 및 제3자 제안공고(안)’에 대한 심의를 의뢰해 8일 통과 결과를 접수했다.
이는 지난해(2024년) 12월 한국개발연구원(KDI)으로부터 적격성조사 통과 이후 기획재정부 및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긴밀히 협의해 사업 추진계획에 맞춰 차질 없이 진행해 이뤄낸 성과다.
이로써, '수영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은 기획재정부로부터 사업의 시급성 및 필요성을 인정받아 민간투자 사업 추진의 법적 당위성 확보와 함께 제3자 제안공고(안)의 세부 내용을 확정하게 됐다.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은 '민간투자법'제8조의 2 규정에 따라 사회기반시설과 관련된 중·장기계획 및 국가투자사업의 우선순위 부합 여부 등을 평가한 결과 민간투자방식으로 현대화사업 추진이 확정됐음을 의미한다.
또한,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 심의 과정에서 한국개발연구원(KDI)에서 제시한 제3자 제안공고(안)의 검토의견을 충실히 반영했고, 그 결과 사용료 인하로 최초제안서 대비 30년간 약 900억 원의 재정 절감은 물론, 참여업체에 대한 공정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게 됐다.
시는 이번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에 따라, 시의회 동의 절차를 조속히 이행하고 이후 제3자 제안공고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사업 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올해 7월 시의회 동의 안건 상정 및 제3자 제안공고 절차를 조속히 진행해 사업의 건설·운영 계획을 제안받아 이 가운데 시 재정부담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우선협상대상자를 올해 중으로 선정할 예정이다.
특히, '수영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은 단순한 하수처리장 재건설이 아닌 도심속 문화공간 조성 및 수영강 권역의 토지이용계획 극대화로 도시발전 기회 마련을 위한 필수 사업인 만큼, 기획재정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2026년 실시협약 및 실시계획 승인 등 절차를 신속히 추진, 같은해(2026년) 착공을 목표로 한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민간투자 대상사업 지정을 통해 민간투자방식으로 현대화사업이 확정된 만큼, 이를 발판으로 사업을 더욱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라며, “새롭게 태어날 수영하수처리시설을 통해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시민이 행복한 부산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