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저널 윤나영 기자 | 울산광역시의회 공진혁 의회운영위원장은 8월 26일 오후 2시, 시의회 다목적회의실에서 ‘울산 원자력 산업단지 조성 방안 간담회’ 를 개최하고 울산광역시, 울주군, 울산테크노파크, 울산연구원,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 등 관계기관과 함께 원자력 해체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 생태계 구축 및 실행 전략을 논의했다.
공진혁 위원장은 “울산은 원자력 산업의 중요한 거점으로서 이미 관련 기반과 전문 기업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며, “앞으로 2030년이면 세계 원전 해체시장이 약 50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울산은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핵심 산업으로 원전 해체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울산 원자력 산업단지 조성의 필요성 ▲지역 기업들의 원전 해체사업 참여 방안 ▲원자력 관련 기업 육성과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의 성장 지원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관별 협력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지역 기업들의 실질적인 시장 참여 확대를 위해 공정하고 투명한 경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며, 지원 제도 개선과 맞춤형 육성 정책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모았다.
시 관계자는 “울산에는 원자력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이 존재한다”며, “이들이 장기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여러 지원 방향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공진혁 위원장은 “울산은 국가 원자력 정책에 적극 협력해온 만큼, 이제는 원전 해체산업을 기반으로 미래 먹거리를 창출해야 한다”며,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지역 역량을 결집하고, 글로벌 원자력 해체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 울산이 명실상부한 원자력 해체산업의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의회 차원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