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저널 정보영 기자 | 경상북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 ‘산업AI 솔루션 실증·확산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21억 원을 확보했다.
이번 과제는 산업AI 표준 서비스체계 구축, 현장 실증 및 적용, 산업 확산 전략 수립의 3단계 유기적 흐름을 통해 이차전지 산업의 공통 난제인 인력난과 안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상북도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경북테크노파크 등 연구기관과 포스텍, 서울대, 카이스트 등 대학교 그리고 이차전지 핵심 수요기업인 에코프로비엠, 피엔티, 아이에스에코솔루션, 아바코 등이 참여하는 ‘앵커 컨소시엄’을 중심으로 산·학·연이 결합된 최적의 추진체계를 갖췄다.
경상북도는 향후 9개월간 국비를 포함해 총사업비 43억으로 생산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표준 AI무인화·무재해 솔루션 설계 ▵앵커 컨소시엄 실증 및 적용 ▵지속가능한 산업 혁신 로드맵 구축 등 AI 기반 통합 솔루션을 도입·실증하게 된다.
최근 국내 산업은 성장 둔화와 수도권 중심의 연구개발 편중, 그리고 급변하는 산업 구조에 대한 대응력 부족 등 복합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 특히 제조업은 저성장·고령화라는 구조적 한계 속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경상북도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지역 기업이 AI 도입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성과를 빠르게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이차전지뿐만 아니라 주력산업 전반의 AI 전환을 단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양금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과제 선정은 경북 제조업이 직면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산업AI 실증 성과를 확산시켜, 주력산업 전반에서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