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저널 김경미 기자 | 경상남도는 산업통상부가 주관(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전담)하는 ‘2025년 인공지능(AI) 팩토리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151억 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제조 인공지능(AI)의 시급성과 급증하는 인공지능 전환(AX) 수요를 고려해, ‘2024년 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를 확대 개편한 제조 현장의 인공지능 전환(AX)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는 지난해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에 조선, 기계 2개 분야 선정으로 국비 145억 원을 확보한 데 이어, 올해는 인공지능(AI) 팩토리 공모사업의 우주항공, 전자, 에너지 3개 분야 과제에 선정돼 국비 151억을 추가 확보했다.
우주항공, 전자, 에너지 분야 앵커기업과 밸류체인 내 벤더기업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경남도 제조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 기반을 닦아나갈 계획이다.
먼저, 우주항공 분야 과제는 ‘항공기 기체 부품 무중단 가공 기반 무인생산을 위한 인공지능(AI) 자율제조 핵심 기술개발 사업’이다. 국비 46억 원, 지방비 13.8억 원, 민간부담금 20.2억 원 총 80억 원이 투입되며 아이큐브솔루션㈜이 주관하고 ㈜율곡, 디엔엠항공이 실증기업으로 참여한다.
항공기 기체 부품 제조업은 까다로운 품질 기준과 복잡한 생산 공정, 마모 점검을 위한 공정 중단 등으로 생산성‧효율성이 낮기로 손꼽히는 분야다. 품질인지, 판단, 능동 보상 제어가 가능한 인공지능(AI) 기반 무중단 부품 가공공정과 지능형 무인 생산 시스템이 구축되면 생산성이 20% 가량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자 분야는 ‘가전 제조 산업의 판금 공정에서 인공지능(AI) 기반 밸류체인 협업 기술 개발 과제’이다. 국비 60억 원, 지방비 6억 원, 민간부담금 42억 원 등 총 108억 원이 투입되며, 엘지전자(주)가 주관하고 엘지전자 대표 협력사인 (주)동우테크, ㈜상일코스템이 실증기업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판금 공정은 가전제품의 뼈대와 외형을 만드는 핵심 공정이다. 생산 데이터를 수집‧정제‧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 공정 전체에 적용될 수 있는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시스템을 구축한다. 인공지능(AI) 자율제조 기술이 적용되면 판금 성형 공정의 시간당 생산량이 25% 이상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번 과제로 구축될 엘지(LG)전자와 계열사 간 협업 모델은 대기업과 벤더사가 함께하는 인공지능 전환(AX)의 협력 사례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지 분야는 ‘발전용 가스터빈 블레이드 보수재생 인공지능(AI) 자율 연속생산 시스템 기술 개발 사업’이다. 국비 45.1억 원, 지방비 9.2억 원, 민간부담금 15.9억 원 등 총 70.2억 원이 투입되며 주식회사 스맥이 주관하고 두산에너빌리티가 실증기업으로 참여한다.
가스터빈 블레이드는 고온‧고속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므로 정기적인 정밀 점검·보수가 필수적이다.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된 자율 보수 재생 시스템을 개발해 블레이드 보수 재생에 드는 수작업 시간 비중을 50%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인국 경상남도 산업국장은 “이번 공모 선정은 경남이 제조·산업 인공지능의 전략적 거점으로 거듭나기 위해 국가 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결과”라며, “경남이 대한민국을 넘어 글로벌 제조 인공지능 산업을 이끌어가는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는 ‘제조 인공지능(AI)의 메카, 경상남도’를 목표로, 인공지능 산업 정책 수립‧육성과 주력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을 중점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제조분야 ‘피지컬 인공지능(AI) 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 예타 면제 승인을 받는 등 탄력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