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전국공통

백승아 의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수혜인원 절반 이상이 서울대 학생

백승아 의원, “보다 다양한 대학의 이공계 인재들이 장학금 혜택 받을 수 있도록 점검 필요”

 

브릿지저널 김경미 기자 | 과학기술분야의 최우수학생을 발굴·육성하기 위한 대통령과학장학금이 서울대 등 일부 대학에 편중되어 지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지에 맞는 장학금 운영을 위해 현행 제도를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 백승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장학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가우수장학금 수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 대통령과학장학금을 받은 397명 중 과반인 207명(52.1%)이 서울대생이었다. 서울대 다음으로 수혜학생이 많은 카이스트(28명·7.1%)보다 179명이나 많아 서울대로의 장학금 수혜 쏠림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포항공대(21명·5.3%) △고려대(17명·4.3%) △연세대(15명·3.8%) 순이었고, 총 59개교 중 서울대 포함 상위 5개교 소속 학생들이 수혜인원의 72.5%를 차지, 총 159억원의 장학금을 받았다.

 

서울대가 대통령과학장학금의 절반 이상을 가져간 건 이전부터 지속된 일이다. 2023년 1학기 서울대생의 수혜 비율은 53.7%였고, 같은 해 2학기엔 53.4%를 받았다. 지난해 1학기엔 53.8%, 2학기엔 54.2%를 차지했다.

 

수혜 금액에서도 서울생들은 전체 220억 중 과반인 108.9억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스트생은 16.3억 원, △포항공대 10.4억 △고려대 12.5억 △연세대 10.8억 순이었다.

 

지난해부터 첫 발을 뗀 대학원대통령과학금의 경우, 서울대의 비중이 다소 줄었으나, 대통령과학장학금처럼 서울대·포항공대·카이스트·연세대·고려대 등 일부 대학이 약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대학원 장학금을 받은 학생은 카이스트 소속으로 전체의 16.6%를 차지했다. 수령한 금액은 3.9억 원이었다. 이어 △서울대 16.1%(3.7억 원) △포항공대 10.6%(2.5억 원) △연세대 6.9%(1.6억 원) △고려대 3.7%(0.8억 원) 순이었다.

 

한국장학재단은 이 같은 상위권 학교 장학금 '쏠림'이 공정한 선발의 결과라는 입장이다. 한국장학재단은 “서류 전형 및 면접 등의 선발 과정에서 (외부 인력 등을 통한) 블라인드 선발을 통해 소속 대학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블라인드 테스트라 하더라도 연구 여건·실적 등 이미 벌어진 대학 간 격차가 장학금 대상자 선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선발 과정에서 학업연구계획, 과학활동, 연구활동실적 등을 평가하기에, 특정 대학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은 구조라는 뜻이다.

 

백승아 의원은 “우수한 성적의 학생이 특정 상위권 대학에 많아 장학금 수혜 쏠림이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방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창의적이고 잠재력이 풍부한 다양한 이공계 인재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안정적으로 연구·학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대통령과학장학금의 본래 취지에 맞게 운영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백 의원은 “블라인드 선발이라 하여도 의도치 않게 출신 학교가 눈에 보이지 않는 장벽이 되고 있는 건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며 “지역거점국립대를 비롯한 다양한 대학의 우수 이공계 인재들이 폭넓게,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선발 과정과 제도 설계를 재검토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