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릿지저널 김경미 기자 | 경기도내 각급 학교에서 먹는 물과 관련해 대부분 정수기를 설치했지만, 대부분 음용컵을 제공하지 않아 ‘입 대고 물 먹는’ 비위생적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소속 이택수 의원(국민의힘, 고양8)은 17일 경기도교육청 기획조정실과 협력국 등을 대상으로 한 2025년 행정사무감사에서 “경기도내 전체 초중고특 학교 2587교 가운데 정수기 설치 학교수는 2586교로 99.9%에 달하는데 음용컵 미제공 학교수는 2525교로 97.2%에 달한다”며 “특히 일회용 종이컵이 아닌 다회용컵 제공 학교수는 25교로 전체의 1%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고 질타했다.
이택수 의원은 “대다수의 학교에서 학생들이 분수대 정수기 꼭지에 직접 입을 대거나 개인 텀블러를 지참해야만 물을 마실 수 있는 환경이 대장균 등 2차 오염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며 “그나마 급식실 내 음용컵 미제공 학교는 75%이고 일회용종이컵 제공이 2.61%, 다회용컵 제공이 12.2%에 달하는 만큼 급식실 만이라도 음용컵 제공과 살균세척시스템 도입 확대에 적극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답변에 나선 하덕호 협력국장은 “학교내 음용수 시스템 관련 위생점검 결과에 대한 별도 보고 내역은 없지만 학교가 매일 정수기 및 음수대 등 주변환경의 청결 및 위생상태에 대한 일상 점검을 추진하고 있다”며 “급식실내 음용컵 자동살균세척기 설치를 위한 예산은 약 96억원으로 위생시스템 보완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학교급별 가정통신문 앱이 리로스쿨과 스쿨투게더, 아이엠티처, e알리미, 학교종이, 하이클래스 등으로 난립돼 이를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는 설문 응답이 93.1%에 달하는 만큼 내년 3월 경기교육 디지털플랫폼 구축시 가정통신문 전달 방식을 통합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유성석 정보화담당관은 “가정통신문 가운데 하이클래스가 전체 시장의 44%를 점하고 있지만 광고 게재로 인해 이용에 불편함이 있었다”며 “내년에 하이클래스로 가정통신문을 통합하되 전체 학교부담액 48억원 대신 경기도교육청에서 약 19억원을 지원하는 형식으로 이용자들이 무료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답변했다.












